블로그 이미지
redsakalin 항상 활기찬 하루~ ^^)/~
platoons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total
  • today
  • yesterday
2012. 6. 18. 12:01 카테고리 없음

아이보라 아수스, 제온 서버를 위한 ASUS Z9PE-D16 !!!

 

서버에도 부는 Xeon 샌디브릿지-EP 프로세서...

현재 인텔 데스크톱 프로세서의 하이엔드 프로세서 라인인 코어 i7 LGA1155 LGA2011 혼용이 되어 판매가 되고 있다. 처럼 외형적으로 완전히 다른 프로세서 규격이기 때문에 인텔의 7 시리즈 중에 Z77 칩셋과 LGA1155 소켓 프로세서와 X79 불리우는 LGA2011 소켓 프로세서로 나누어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외형적인 차이도 차이이지만, 2가지 종류의 주력 가격대의 메인보드 가격 차이는 크다.

코어 i7 LGA2011 소켓 규격은 우리가 알다시피 싱글 소켓만을 지원하는 X79 칩셋 기반 메인보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코어 i7 3XXX 시리즈는 코드명 샌디브릿지-EP 불리우며 4채널 메모리 컨트롤러로 인해 인텔의 하이엔드 라인을 굳건히 지키고 있다.

이처럼 하이엔드 데스크톱인 코어 i7 프로세서를 이에 인텔에서는 서버 시장에 적용시키기 위해 인텔은 샌디브릿지 기반의 제온 E5-2600 시리즈와 1600 시리즈를 출시했다. 이런 새로운 제온 프로세서를 사용하기 위해 어떤 메인보드 제품을 구입해야하나? 그래서 오늘 해답을 멋지게 내어 놓은 ASUS Z9PE-D16 메인보드를 살펴보도록 하자.

ASUS, Z9PE-D16

제조사

ASUS

유통사

() 아이보라

소켓 형식

LGA2011 (Xeon E5-2600 지원)

칩셋

Intel C602-A PCH

전원부

프로세서당 7 Digital Phase Design

메모리 소켓

16 소켓 (4채널 프로세서당 8 메모리소켓)
메모리 최대 512GB 까지 확장 가능
Memory Type :
DDR3, 1600/1333/1066, RDIMM
DDR3, 1600/1333/1066, UDIMM
DDR3, 1333/1066, LRDIMM
Memory Size :
2GB, 4GB, 8GB, 16GB RDIMM
2GB, 4GB, 8GB UDIMM
8GB, 16GB, 32GB LRDIMM

내장 VGA

Aspeed AST2300 with 16MB VRAM

멀티 GPU

지원 안함

슬롯

Slot Location 1 : PCI-E x16
Slot Location 2 : PCI-E x16 (Gen3 X16 Link)
Slot Location 3 : PCI-E x16 (Gen3 X16 Link)
Slot Location 4 : PCI-E x16 (Gen3 X16 Link)
Slot Location 5 : PCI-E x16 (Gen3 X16 Link), Auto switch to x8 link if slot 6 is occupied
Slot Location 6 : PCI-E x16
Additional Slot 1 : PIKE Slot for Stroage expansion
Follow SSI Location#

SATA

SATA Controller :
Intel® C602-A AHCI
4 x SATA2 3Gb/s ports
2 x SATA3 6Gb/s ports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Enterprise(RSTe)
(Support Software RAID 0, 1, 5, 10 )
LSI® MegaRAID (For Linux/Windows)
(Support Software RAID 0, 1, 10 )
SATA Controller :
Intel® C602-A SCU
4 x SATA2 3Gb/s ports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Enterprise(RSTe)
(Support Software RAID 0, 1, 5, 10 )
SAS Controller :
ASUS PIKE 2008 8-port SAS2 6G RAID card (Optional)
ASUS PIKE 2008/IMR 8-port SAS2 6G RAID card(Optional)
ASUS PIKE 2108 8-port SAS2 6G RAID card (Optional)

LAN

1 x Quad Port Intel Ethernet Controller i350 + 1 x Mgmt LAN
5 포트 지원

사운드

없음

USB

USB 2.0 (백패널 2, 온보드 4, 내부 포트 1)

IEEE

없음

특징

ASWM Enterprise
ASMB6-iKVM for KVM-over-Internet
Fan Speed Control
Rack Ready (Rack and Pedestal Dual Use)
ASWM Enterprise

크기

12 인치 X 13 인치

보증기간

무상 3

가격

900,000

 

새로운 E5 wpdhs 프로세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텔의 2가지 C604,C602 칩셋 중에 하나의 칩셋이 장착되어 있는 메인보드를 구입해야 한다. 칩셋과 X79 칩셋과 가장 차이점은 바로 추가적으로 SATA 포트를 지원하는갸 하는 여부 정도 밖에 차이가 없다. 하지만 외부적으로 봤을 때는 2개의 프로세서와 혹은 1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할 있는 없는가 차이일 것이다. 간단하게 지만 블럭 다이어그램을 통해 C602 칩셋의 특징을 정리해 봤다.

Chipset Spec

제품명

BD82C602 PCH

BD82C604 PCH

출시

2012 1분기

2012 1분기

공정

65nm

65nm

최대 소비전력

8W

8W

그래픽코어 내장

없음

없음

PCI-E 슬롯

 

PCIE 버전

2.0

2.0

PCIE 구성

2x4, 4x2, 8x1

2x4, 4x2, 8x1

PCIE 최대 포트

8

8

IO 스펙

 

USB 버전

2.0

2.0

USB 포트 개수

14

14

SATA 포트

10

6

SATA3

2

2

패키지 크기

27mm X 27mm

27mm X 27mm

간단한 스펙상의 비교를 통해 우리가 흔히 접할 있는 7 시리즈 칩셋과 C604 칩셋이 어떤 차이는 결론 부터 이야기 하자면, 현재 인텔의 7 시리즈 칩셋과 동일한 65nm 공정으로 만들어지며 8W 소비전력을 소모하는 사실 7 시리즈 칩셋과 C604, 602 칩셋은 차이점는 없는데, 단지 SAS 위한 추가적인 SATA 포트를 지원하는 것이 다다.

 

, 3월에 출시된 새로운 지온 프로세서는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를 많이 도입하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에게 이슈가 프로세서이다. 중에 빠른 메모리 성능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클라우드 성능을 끌어올리는데 역할을 하게 것으로 보인다. 중에서 가장 강력한 것은 데이터 베이스를 암호화 하면서 저장 리스토어를 빠르게 있는 AES-NI 추가 되어 서버의 트렌젹션이 일어나는 동안에도 다양한 입력 경로도 들어올 있는 데이터를 암호화 해독할 있는 빠른 성능을 자랑한다.

XEON E5-2690

제조사

Intel

유통사

()코잇, ()인텍앤컴퍼니, ()피씨디렉트

제품명

E5 2690

클럭속도

2.9GHz (터보 부스트 3.8GHz)

코어

8 Core / 16 Thread

소켓 형식

Socket 2011 (LGA2011)

메모리 지원

DDR3-1066, 1333, 1600 MHz - 최대 750 GB
4
채널 메모리 지원, ECC 메모리 지원

공정

32nm (샌디 브릿지 코어 기반)

캐쉬

L1 : 32KBytes x8 Data / 32Kbyte x8 Instruction
L2 : 256 x8 KBytes
L3 : 20MB

PCI-E

3.0 지원

그래픽코어

없음

그래픽클럭

없음

특징

AES, VT-d, Execute Diable Bit, Hyper-Threading
Turbo Boost 2.0, Intel Speed Step, Intel AVX, 2S
지원

TDP

135W

가격

트레이 $2057 / 박스 $2061

그렇게 많은 프로세서 코어 개수를 갖고 있는 제온 프로세서는 윈도7 64비트에서 무난하게 인식을 하면 마이크로소프트의 서버 제품군 아니더라도 사용하는데 크게 무리가 없었다. 윈도7 장치 관리자를 통해 확인해보면, 1개의 프로세서당 8개의 코어와 8개의 하이퍼 스레딩을 인식하기 때문에 16개의 스레딩을 처리할 있다. 그리고 2개의 프로세서를 장착하므로 32개의 코어 갯수로 인식했다.

서버 제품군도 데스크톱 프로세서 보다 세밀한 스펙으로 나누어져 다양한 서버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상당히 많은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었다. 보다 자세한 wpdhs 프로세서 들을 비교하려면 인텔 홈페이지를 참조하길 바란다.

 

2개의 LGA2011 소켓 주변으로 8개의 메모리 뱅크가 자리 잡고 있다. 제온 E5-2600 프로세서는 코어 i7 프로세서와 같이 4채널 메모리를 지원한다. 새로운 제온 프로세서는 프로세서의 크기도 크지만 전반적으로 메모리 뱅크가 많아 메인보드에 많은 영역을 차지 하고 있다.

2개의 LGA2011 소켓이 메인보드에 자리를 잡고 있다. 우리가 많이 봤던 X79 칩셋에 사용된 소켓과 동일하다. 폭스콘의 소켓이 사용되었다.

부팅시 그리고 많은 메인보드에 온보드된 다양한 칩셋을 부팅하면서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데 이를 쉽게 있도록 LED 장착되어 있다.

메인보드에 사용된 C602 칩셋은 제온 E5 시리즈 프로세서를 듀얼로 구성할 있도록도와준다.

네트워크 확장성을 위해 4개의 쿼드 기가비트 이더넷을 장착하고 있는데 인텔의 원칩 솔류션인 i350 칩셋이 사용되었다. 또한 USB 포트 위에 있는 컨트롤러를 서버에 모니터링을 있는 포트로 ASUS ASWM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버의 모든 부분을 모니터링 있도록 한다.

 

 

메인보드는 5 포트의 PCI-E 3.0 16배속 갖고 있는데, 이를 지원하기 위해 PCIE Gen3 스위치 칩셋을 장착하고 있다. 슬롯은 사실 그래픽카드 보다는 병렬 연산 처리를 위한 엔비디아의 테슬라를 위한 슬롯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메인보드의 전원부는 프로세서는 7 디지털 페이즈 방식의 전원부로 구성되는데 디지털로 제어하여 효율성을 높히기 위해 노력했다.

2개의 8 커넥터를 통해 각기 프로세서 마다 독립적으로 12V 전원을 공급하며 중앙의 24 커넥터를 통해 메인보드에 전반적인 전원을 공급한다. 각기 프로세서 마다 8 커텍터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므로 8 커넥터를 꼽지 않으면 해당 프로세서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C602 칩셋이 지원하고 있는 6개의 SATA 포트는 X79 그리고 7 시리즈의 포트 구성과 완전히 일치한다.

SAS 그리고 RAID 등을 지원하기 위해 16개의 SATA 포트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중에서 상위 8 SATA 포트는 SATA3 지원하는 포트이다.

6개의 PCI-E 3.0 16 배속 슬롯을 지원하는데 병렬 컴퓨팅을 위한 엔비디아의 테슬라 등을 위한 슬롯이다. 실제 AMD 그래픽카드 등을 꼽게 되면 인식하지 못해 정상적인 화면을 보여주지 못했다.

D-Sub 통해 추가적인 그래픽카드의 장착없이 VGA 출력이 가능하도록 ASPEED AST2300 칩셋과 16M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다.

 

듀얼 제온 프로세서가 뿜어내는 가공할만한 성능...

16코어, 그리고 32개의 스레딩을 처리할 있는 가공할만한 메인보드를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려고 하는 데스크톱 프로세서의 한계를 일지감치 넘어선 제품이다. 하지만 최근 스마트 등을 기초로 다양한 개인 장비들이 너도 나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서버에서는 빠른 프로세서의 속도외에 많은 스토리지을 연결하기 위한 서버들이 속속 , HP 등의 완제품 서버 제조사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런 서버 시장의 변화에 보다 완제품 서버들의 고정된 스펙의 틀을 넘어설 필요가 있는 개발자들에게 메인보드는 가뭄의 단비 같은 존재일 것이다. 그리고 인텔의 C604, 602 계열의 칩셋이 탑재된 제온 듀얼 메인보드를 다른 메인보드 제조사들에게서 구입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오늘 소개한 메인보드의 존재 가치는 정말 높다고 있을 것이다.

그래픽카드가 인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서버에 어울리는 메인보드..

브레인박스에서는 많은 테스트을 위해 해당 제품들 외에도 다양한 주변기기를 준비하였으나 아쉽게도 엔비디아의 GTX680, GTX670 등의 그래픽카드들은 사용이 가능했으나 아쉽게도 AMD 계열의 그래픽카드들은 부티잉 되지 않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많은 PCIE 3.0 슬롯을 지원하지만 엔비디아의 SLI 혹은 크로스파이어를 지원하지 않는데, 이는 Z9PE-D16 메인보드가 많은 스토리지를 장착할 있는 서버에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거나 엔비디아의 테슬라를 통해 병렬 컴퓨팅 제품으로 디자인이 되었다는 있었다.

ASUS 에서는 제온 듀얼 프로세서를 사용하기 위해 메인보드 외에도 다른 메인보드를 출사하였는데, 메인보드가 입수가 되는데로 기존의 코어 i7 프로세서와 X79 메인보드의 차이점을 다시 한번 자세히 비교해 보기로 하고 이번 리뷰를 마칠까 한다.

PS> 국내에서 판매가 되고 있는 일부 X79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가 제온 프로세서를 사용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에 대해 확인을 하여 제온 프로세서와 같이 사용할 있는 X79 칩셋 메인보드를 소개할 예정이다. 기사도 많은 기대를 부탁 한다.

 




출처 : ()브레인박스벤치마크
기사 원문 보러 가기 : http://www.brainbox.co.kr/review/view.asp?id=4117#none
브레인박스 놀러 가기~ http://www.brainbox.co.kr
이지가이드 ()엘씨디존 LCDZONE http://www.ezguide.co.kr

posted by plato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