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즈윈
애즈락 B75 칩셋은
나에게
맡겨라, ASRock B75M !!!
H61 칩셋의
뒤를
잇는 B75 칩셋...
USB 3.0를
지원하는
가장
큰
매력으로
다가오고
있는
인텔의 7 시리즈
칩셋은
다양한
메인보드
제조사들의
제품들이
봇물
처럼
쏟아져
나오면서
기존의 6 시리즈
칩셋
시장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그리고 6 시리즈에서퍼포먼스
급
칩셋으로
구분이
되어
있는 P 시리즈와 Z 시리즈가 7 시리즈에
들어서서
하나인 Z77 로
합쳐지면서
보다
시너지를
얻는
분위기
이다.
그렇다면
하위
모델인 H 칩셋
계열에서는
어떤
변화가
생겼나? 현재
프로세서
시장은
샌디
브릿지
기반의
프로세서에서
빠르게
아이비
브릿지
기반의
프로세서로
넘어가고
있는
추세인데, 하지만
하위 H 시리즈
역시
아이브
브릿지
기반의
프로세서가
사용가능해지면서 H61 칩셋이
생명을
연장해
가고
있다.
하지만, 새
술은
새
부대에
부어야
한다고.. 새로
시스템을
꾸미려는
유저들은
큰
고민없이
인텔의
새로운 7 시리즈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를
구매하는
추세이다. 그렇다
보니 H61 칩셋
시장의
연장
선상으로
어떤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를
구매해야
할까
하는
고민이
많을
듯
한데
이에
대한
해답으로 B75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가
주목
받고
있다.
ASRock, B75M | 제조사 | ASRock | 유통사 | (주) 에즈윈 | 소켓
형식 | LGA 1155 (22, 32nm CPU 지원) | 칩셋
| Intel B75 Express Chipset | 전원부 | 3 + 1 아날로그
파워
디자인 | 메모리
소켓 | 2개 (DDR3-1600,1333,1066 MHz) - 듀얼
채널, 최대 16GB Intel Extreme Memory Profile (XMP) 1.3 / 1.2 지원 | 내장 VGA | HDMI (Max 1920 X 1200 @ 60Hz) DVI (Max 1920 X 1200 @ 60Hz) D-Sub (Max 2048 X 1536 @ 75Hz) 최대 1,696MB 메모리
공유, 인텔 HD 그래픽스
지원 | 멀티 GPU | AMD GPU Quad / CrossFireX | 슬롯 | PCI-E 3.0 X16 1개 PCI-E 2.0 X16 1개 (4배속
모드) PCI 2개 | SATA | B75 칩셋 :SATA3 6.0Gb/s 1개, SATA2 3.0Gb/s 5개 ASMedia : ASM1061 SATA3 6.0Gbs/s 2개 | LAN | Realtek 8111E Gigabit LAN | 사운드 | Realtek ALC662 6채널
사운드
코덱 - THX TruStudio 지원
등
| USB | B75 USB 3.0 (백패널 4개) B75 USB 2.0 (백패널 2개, 온보드 4개) | IEEE | 없음 | 특징 | AXTU, Instant Boot, APP Charger, SmartView, XFAST USB, XFAST LAN, XFAST RAM 등 | 크기 | Micro-ATX (24.4cm X 21.3cm) Form Factor | 보증기간 | 무상 3년 | 가격 | 90,000원
대 |
아이비
브릿지
기반의
프로세서
중에서
가장
높은
클럭을
갖고
있는 Core i7 3770K 프로세서도
잘
작동이
되었으며
최근에는
윈도8 에서
발생하는
셧다운
문제를
해결한 P1.40 바이오스를
공개했다. 에즈락
메인보드는
퍼스트
티어
대만의
메인보드
벤더들
처럼
빠르게
대응해주는
바이오스
업데이트
정책으로
많은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
|
▲
보급형
메인보드들은
디지털
전원부가
아닌
아날로그
전원부를
갖고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는
전원부
구성에서
큰
원가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10만원
내외에서
디지털
전원부로
만들어진
메인보드는
찾기
힘들다. 결론적으로
아날로그
전원부의
경우
디지털
전원부
보다는
아무래도
효율성
측면에서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보급형
제품들은
전체적인
시스템
가격을
더욱
중요시
하기
때문이다. |
▲
인텔의 B75 익스프레스
칩셋은
큰
발열이
없기
때문에
패시브
방열
장치인
방열판만으로도
쉽게
열을
시킬
수
있다. |
▲
인텔의 B75 칩셋은
최대 32GB의
용량을
인식할
수
있으나, B75M 메인보드는 2개의
메모리
뱅크만을
갖고
있어
최대 16GB 까지
인식이
가능하다. 그리고
익스트림
고급용
메모리인
규격인 XMP 를
지원해
하이엔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 |
▲
에즈락 B75M 메인보드는 PS2를
지원하는
마우스
및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PS2 포트를
지원하며 4개의 USB 3.0 포트를
모두
후면 IO에
위치했다. |
▲
에즈락 B75M 메인보드는
일반적으로
전원공급기에서
사용하는 24핀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입력
받는다. |
|
|
▲
에즈락 B75M 메인보드에
사용된
랜
컨트롤로는
리얼텍의
기가비트
랜
컨트롤러인 8111E 칩셋이
사용되었다. |
▲ B75 칩셋은
총 6개의 SATA 포트를
지원하는데
그중
한
개만 SATA3 를
지원한다. |
▲ SATA3_0으로
되어
있는
포트가 B75 칩셋에서
네이티브로
지원하는 SATA3 포트이며
오른쪽에 2개의 SATA3 포트는
추가적으로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ASMedia의 ASM1061로
지원한다. |
▲
현재 LGA1155은 32nm 공정의
샌디
브릿지
기반의
프로세서와 22nm 공정의
아이비
브릿지
기반의
프로세서를
모두
지원한다. |
▲ B75M 메인보드에
사용된
사운드
코덱은
리엘텍사의 ALC662 코덱이다. 이
코덱은
최대 5.1 채널을
지원하며
트루 THX를
공식
지원한다. |
▲
추가적으로 B75 칩셋의 USB 2.0 포트를
지원하기
위해
메인보드에 2개의 USB 2.0 헤더를
지원하고
있다. |
|
ASMedia SATA3 포트를
통한
운영체제
인스톨
인텔
칩셋은
윈도7를 AHCI 모드로
인스톨
하는데
드라이버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USB 메모리를
통해
운영체제를
인스톨할
수
있다. 하지만 B75 칩셋의
네이티브 SATA 포트를
통한
운영체제
인스톨이
아니기
때문에
몇
가지
설정을
필요로
한데, 우선
바이오스를
통해 SATA 메뉴에서
아래의
옵션
부분을
활성화
해야
한다.
Advanced > Storage Configuration
ASMedia SAT3 Mode : AHCI
SATA Boot ROM : Enabled
▲
드라이버
없이
운영체제를
인스톨하게
되면 ASMedia 칩셋은 "표준 AHCI 1.0 Serial ATA 컨트롤러" 로
인식된다. 추가적인
드라이버를
인스톨
하지
않아도
사용하는데
크게
무리는
없다. |
▲
에즈락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를
인스톨하게
되면 Asmedia 106x SATA 컨트로롤러
라고
인식하게
된다. |
이
부분만
설정을
하게
되면
운영체제
인스톨
시
별도의
드라이버
없이
운영체제를
인스톨할
수
있다. 현재 B75 칩셋이 1개만
지원하는 SATA3 포트를
지원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B75M 메인보드는
그
부분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추가적인
칩셋을
통해 2개의 SATA3 포트를
지원해줘 B75 칩셋이
태생적으로
갖고
있는
단점을
잘
극복한
메인보드이다.
Z77 칩셋
메인보드가
버거운
사용자들이라면...
오늘
소개한 B75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은
현재
저가
시장을
휩쓸고
있는 H61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를
후계자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이
메인보드가
갖고
있는
스펙인 H61 칩셋
보다
뛰어난 SATA3 그리고 USB3.0를
공식
지원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새롭게
출시된
아이비
브릿지
기반의
펜티엄
프로세서와
듀얼
코어인
코어 i3 프로세서도
출시가
될
예정이기
때문에 B75 칩셋의
열기는
식지
않을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제조사의
어떤 B75 칩셋
메인보드를
사용해야할까? 이에
대한
에즈락의
해답은
바로 B75M 메인보드이다. 앞서
봤던 B75 칩셋의
단점으로
지적받는 1개의 SATA3 포트
지원을
잘
해결한
제품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얻는
반응은
뜨거울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주)브레인박스벤치마크
기사
원문
보러
가기 : http://www.brainbox.co.kr/review/view.asp?id=4112
브레인박스
놀러
가기~ http://www.brainbox.co.kr
이지가이드 (주)엘씨디존 LCDZONE http://www.ezguide.co.kr